1997년 홍콩이 중국에 반환된 후 일국양제(一國兩制)가 시행됐다. 하지만 22년만인 2019년 중국과 홍콩의 관계는 최대 위기에 봉착했다. 홍콩 정부가 올해 4월 3일 '범죄인 인도 법안(일명 송환법)'을 추진하면서 이에 반대하는 시민들이 시위에 나섰다. 송환법이 홍콩 시민들의 자유를 억압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시위로 입법회 건물 점거 사태가 발생하는 등 시위가 격화되면서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이 송환법 철회를 발표했다.

하지만 홍콩 시민들이 시위는 계속되고 있다. 홍콩 반환 이후 경제적, 사회적 불만이 누적돼 왔기 때문이다. 여기에 미국, 영국 등이 홍콩 시위 사태에 주목하면서 중국 정부와 갈등도 불거지고 있다. 급기야 최근에는 홍콩 정부가 복면금지법을 시행하고 경찰이 시위 중인 시민에게 발포하면서 다시 시위가 격화되고 있다.

이에 NK경제는 홍콩 상황과 시위 현장 취재에 나섰다. [알립니다] 홍콩으로 취재를 갑니다 

10월 10일 홍콩 시내 중심부인 몽콕역을 찾았다. 몽콕역에서는 10월초 홍콩 시민들의 격렬한 시위가 있었다. 홍콩 정부는 몽콕역의 일부 지역을 폐쇄했었고 10월 9일에는 현지 언론사 기자들에게 시위대가 파괴한 기물들을 보여주기도 했다. 홍콩 정부의 의도는 시위대릐 폭력성을 부각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10월 10일 몽콕역에는 지하철을 이용하려는 시민들로 북적였다. 하지만 시위의 상처는 아직 아물지 않았다. 지하철 개찰구가 파괴돼 일부 기기만 사용할 수 있었다.    

 

또 지하철 정보를 알려주는 키오스크와 교통카드 충전기 등도 일부 파괴돼 있었다. 몽콕 지하철역에는 역 직원과 안전 요원 등이 곳곳에 배치돼 여전히 긴장감이 흘렀다. 

 

시위대는 지하철 광고판에 낙서를 하거나 파괴를 하는 행위를 했다. 몽콕역 상당수 광고판이 파괴됐다. 하지만 영화 조커 광고판은 그와중에 무사했다. 소외된 자의 절규와 없는 시민들의 시위가 나오는 영화 조커의 내용을 생각해보면 미묘한 장면이었다. 

 

몽콕역 주변은 여전히 시위대의 낙서로 가득했다. 시위대는 안티 차이나치라며 중국 정부를 성토하는 글귀를 곳곳에 적어놨다. 벽은 물론 도로 바닥에도 메시지가 적혀 있었다.

 

문구 중에는 자유가 아니면 죽음을 달라는 처절한 문구도 있었다. 

 

몽콕역 출입구 마다에도 각종 낙서가 가득했다. 

 

몽콕역 주변에 번화한 대로임에도 신호등이 들어오지 않는 곳들이 있었다. 시위대가 신호등 역시 파괴한 것이다.

시위대는 신호등을 깬 것뿐만 아니라 관련 기기도 파괴해 신호등이 복구되지 못한 상태였다.  

파괴와 낙서가 심한 지하철 출입구의 경우 폐쇄된 곳들도 있었다. 하지만 홍콩 시민들은 이런 모습에 아랑곳하지 않는 모습이었다. 

몽콕역 주변 메시지에는 중국을 증오하는 내용이 특히 많았다. 중국 건국 70주년을 조롱하는 문구도 눈에 들어왔다. 몽콕 거리는 관광객, 시민들로 가득했지만 홍콩 시민들의 시위로 인한 상처가 남아 있었다.

 

10월 10일 마오산역과 마오산 쇼핑몰을 방문했다. 이곳 역시 10월초 격렬한 시위가 진행된 곳이다. 마오산에서는 일부 시위대가 홍콩 임시정부 수립을 발표했으며 시위대와 경찰이 격렬하게 충돌했다.

마오산역 역시 파괴된 개찰구가 아직 수리되지 않았다.

지하철표 발매기 역시 고장난 상태였다. 

시위 과정에서 부서진 마오산 쇼핑몰 중국은행 지점은 수리를 위해 ATM 사용이 제한됐다. 그러나 바로 옆에 창구에서는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었다. 

마오산역 외곽에는 시위대가 남긴 전단지, 포스터 등이 여전히 붙어있었다. 전단지, 포스터는 홍콩 경찰의 무리한 진압과 홍콩 정부를 성토하는 내용으로 가득했다. 

마오산 쇼핑몰은 복구가 완료돼 가족 단위로 쇼핑을 온 사람들의 모습도 눈에 띄었다. 

몽콕역, 마오산역, 마오산 쇼핑몰은 시위의 흔적이 남아있기는 했지만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특이한 점은 시위대에 의해 파괴된 기기 마다 전부 문구가 적혀있었다는 점이다. 그 기기들이 시위대의 반달리즘(vandalism)에 의해 파괴됐다는 것이다. 이는 홍콩 정부 등이 시위대의 폭력성을 부각시키기 위한 조치로 보였다.

홍콩=강진규 기자  maddog@nkeconomy.com

* 독자님들의 뉴스레터 신청이 NK경제에 큰 힘이 됩니다. 많은 신청 부탁드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NK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